※클래스 내의 선언
클래스에는 고유의 데이터를 갖는 정보들을 넣을수 있다.
집에 대한 성질들을 생각해보자.
브랜드 = "자이", "힐스테이트", "아크로비스타" > String 타입
집의 평수 = 27, 35, 42 > int 타입
스마트 Tv 의 존재 여부 = true , flase > boolean 타입
이러한 것들은 명사형태의 data로 추상화 된 정보를 field 라고한다.
[접근제어자] [제어자] 타입 필드명 [=초기값]; 꼴의 문법을 갖춘다.
[접근제어자] [제어자]는 생략 가능
Public class House{
String brand;
int size;
boolean smartTv;
}
필드의 선언은 우리가 알고있는 타입에 따라 선언 할 수 있고 그 값을 정해주지 않을때 초기값을 갖는다.
집은 브랜드, 크기, 스마트TV 의유무로 House라는 class의 필드를 가지려고한다.
위의 코드를 House.java 라는 클래스로 저장해보자.
평수 변경 size = n; (n 은 받은값)
스마트 Tv의 존재여부 변경 smartTv = !smartTv ;
이와같이 동사형태로 행동이 취해지는 것을 method 라고한다.
[접근제어자] [제어자] 리턴유형 method( parameter1, parameter2 ){ 실행해야할 것을 구현해주는 코드}
꼴의 문법을 갖춘다.
[접근제어자] [제어자]는 생략 가능
parameter는 대입이 되기전의 매개변수를 뜻하며 데이터의 타입을 가리지 않고, 비워둘수도 있다.
이에 대입될 숫자나 문자를 argument 라고한다.
public static void houseChange(int size,boolean smartTv){
House uphome = new House(40,false);
int newsize = size + 10;
boolean smartTvChange = !smartTv
}
이와 같은 꼴로 메소드를 만들 경우 House라는 클래스에서 argument 로 받은 집의 평수에서 10평을 늘려주고, 스마트TV 의 존재여부를 바꿔주었다.
'JAVA > JAVA 국비지원 수업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AVA 11일차 수업 (0) | 2023.05.15 |
---|---|
JAVA 10일차 수업 (0) | 2023.05.11 |
JAVA 8일차 추가공부 log (0) | 2023.05.09 |
JAVA 8일차 수업 log (0) | 2023.05.09 |
JAVA 7일차 수업 log (2) | 2023.05.08 |